Everything about 다크걸 오류
Wiki Article
게임으로 치면 버그와도 같아서 규모가 큰 게임일수록 버그가 속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작품의 분량이나 규모가 늘어날수록 설정 오류가 그만큼 생긴다고 보면 된다.
개발자가 사전에 밝혔던 만큼 아직까지는 제작 기능 테스트로 단순 재미로 넣은 기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예문) 약육강식은 찰스 다윈 이후로 입증된 진리다. 그러므로 강한 자들은 약한 자들을 마음껏 핍박하고 착취해도 된다.
자신의 주장을 합리화하려고 이러한 오류들을 일부러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인간의 발견법적 사고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즉 발견법적 사고로 인지적 편향이 일어나고 이로 말미암아, 논리적이 아니어도 (현재의 제한 내에서 가용한) 결론을 내리게 되는 것.
대개 실전에서도 청색 진술에 상당수가 말문이 막혀 녹색 진술처럼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말다툼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보다 다크걸 오류 일상적인 예시를 들겠다.
철권 시리즈: 헤이하치가 카즈야를 떨어뜨린 뒤 행적인데, 일반적으로 두 가지이다.
논증 과정에 오류가 있다는 사실만으로 결론을 무조건 거짓으로 간주함으로써 저지르게 되는 오류로, 논증에 오류가 있되 결론 자체는 참일 가능성이 있어도 불구하고 거짓이라고 한다면 오류가 된다.
마비노기: 메인스트림마다 설정 연계가 잘 되지 않아서 욕을 먹고 있다. 스토리상 유명한 빛의 기사 루 라바다가 대표적인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드래곤볼: 사실상 지구인은 최약체라고 하는데 정작 지구 자체는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다. 사실 지구가 파괴되면 스토리에 엄청난 지장이 생기므로 별 수 없겠지만 파워 인플레만 더 개작살을 내버린 격이다.
예문) 인형 가게에 가서 코끼리 인형을 사고 "이것이 코끼리다."라고 선언한 뒤 냉장고에 넣었다.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방법은 이렇게 해결되었다.
작품마다 작가가 다르고, 또한 평행우주 세계다 보니 구멍이 많다. 한 작가가 설정이나 스토리 전개를 너무 막장으로 하여 수습할 수 없으면 가볍게 '우주적 존재 같은 자들과의 계약'으로 되돌린다.
거기다 설명도 없이 나와 있던 무기, 기술이 소리소문 없이 잊어지기도 한다.
그 사이에 어떻게 바뀌었을지도 모르는 적절한 변화는 무시하고 이전의 어떤 한 순간으로 사람에게나 사물에 적용하는 오류 논증이다.
그리고 일반 모드임에도 불구하고 나이트메어 등급의 몬스터가 더욱 더 많이 출몰한다.
Report this wiki page